본문 바로가기

책 리뷰/소설

서평) 어떤 선택을 해도 희망은 없다. 남한산성 김훈

7.04.29 남한산성(김훈)

오늘 소개할 책은 김훈의 장편소설인 남한산성입니다. 

(2018년 2월 19일 리뷰 재 편집한 버전입니다.)

내가 이책을 집어들게 된 계기는 우연히 들르게 된 홍대 YES24에서 였다. 전자책(eBook)으로 살까말까 고민하다가 결국 내려놨었는데, 중고책이라 그런걸까 4000원에 구매가 가능해서 ‘사두면 종이책이니까 보기싫어도 어쩔수없이 읽게될거같다’라는 명목하에 절대 해서는 안되는 ‘일단 사두자’를 실행에 옮겨버렸다. ‘언젠가는 읽겠지’였는데 외할머니네 댁에 도착해서 잠깐 봐볼까 하고 폈던 그날 그자리에서 다읽어버렸다. 

(그후에 외할아버지가 한참을 들여다보셔서 역사 좀 공부한 사람마냥 줄거리를 알려드렸다)


남한산성(역사소설류)은 어떤책일까? 

겉표지의 자태도 그렇고 빛깔이 튼실한게 이번에도 이순신 이야기처럼 위풍당당할까? 

흔히 내가 좋아하는 대체역사소설하면 ‘만약에(if)’ 라는 가정을 두고 시작하는 설정이기 때문에, 서러움과 한이 많은 대한민국의 대체역사 소설들은 대체적으로 유쾌통쾌한 희극이 많다.


예를 들자면, 그냥 바로 떠오르는 이순신 대체역사물만 생각해봐도 영화 천군이 생각났었다. 현대식 총기를 가진 ‘대한민국’의 군인이 임진왜란 당시의 조선 수군을 지휘하던 이순신에게 가게되었고, 한 줌의 소대일뿐이지만 그들이 가진 이점을 이용해 왜적을 쓸어담는 내용이었다. 칼의 노래를 읽었던 당시에도 우리나라에 몇 안되는 무관 영웅인 이순신의 이야기였기 때문일까 비록 사실을 기반으로 했지만 나름 통쾌하게 봤었고, 책도 영화도 오래전에 봤지만 내게 있어서 대체역사물이란 그렇게 통쾌한 부분들이 조금 있다보니 이번엔 어떨까 하고 기쁜마음으로 열어보게 되었던거같다.


하지만 ‘남한산성’은 내 예상을 크게 빗나가는 소설이었다.

서론이 길었는데 작품에 대해 얘기해보자면 역사에 충실한 김훈의 작품으로써, 남한산성은 대체역사가 아닌 보충역사소설같은 맥락의 역사소설이다. 

‘역사’ 

진실이라는 흩어진퍼즐들을 모아 부족한 부분은 작가의 상상력으로 메꾸되, 최대한 비슷하고 자연스럽게 객관적인것 처럼 채워냈다. 지극히 사실과 근접하게 맞는 책이기에 한반도의 쓰라린 과거를 잘 보여주는 듯한 책이다.

정말 있는그대로 이사건이 일어났던걸 기록해둔 non-fiction같은 소설이었다. 

첫장부터 마지막장까지 조선이라는 나라를 표현함에 있어서 눈덮인 언덕에 이미 밟혀서 납작해져있는 민들레 꽃같은 느낌을 주었다. 너무나도 춥고 불쌍하고 답답하고 해줄수있는게 아무것도 없는데, 그럼에도 죽지않고 쓰러지지않고 살아나가는 힘없는 꽃같이 조선은 그토록 무시하던 오랑캐에게 포위당한채 이야기가 전개된다. 남한산성 포위 기간 동안 성 내에서 벌어진 모습들은 참혹하기 그지없었는데, 병사들이 혹독한 추위속에 살점이 깎여나가고, 고립된 환경속에 점점 부족해져만가는 식량때문에 서서히 인간의 존엄성을 잃어가는 사람들을 너무나도 슬프게 잘 묘사했다. 계속되는 굶주림 속에, 남한산성으로 가는 길잡이 였던 백성은 길잡이 삯으로 아무것도 주지않은 조선을 아쉬워하며 

‘전혀 죄책감없이’

청군을 길잡이 해줄때는 쌀이라도 조금 받아볼수있을까? 하는 말이 나온다. 

목숨을걸고 정탐을 다녀오겠다고 포위된 성에서 용맹하게 나간줄 알았던 선발대가 사실은 청군에게 투항하고 잘살고있었다 라는 이야기들로 미루어보아 숨이 탁탁 막힌다. 

그들에게 국가란 무엇이었을까? 

하지만 과연 조선의 임금은 그 백성의 행동을 욕할수 있을까? 아무것도 해주지 못하는 국가를 스스로 져버리고 살길을 택할수 밖에 없던 백성들에게 양심이 없다느니 매국노라느니 떠들어 댈수있을까. 참으로 깊은 내용이지 않을수 없었다.

예조판서임에도 끝까지 밝히지 못하고 힘없이 나를 따르지 않겠느냐 구걸하듯 권유할수밖에 없었던 김상헌과(국가) 눈앞에 당장 먹여살릴 자식이 있기에 어떤 상황에서든 살아남아보려고 발버둥 치는 뱃사공(국민)의 힘없는 대화는 청국의 길잡이가 되는걸 보고만 있을수 없던 국가의 손에 맥없이 사라지고 만다. 

후에 나오는 부분이지만 뱃사공의 딸이 청국의 포위를 뚫고 성에 들어오게되는데, 이 모습은 국가가 할수 없다 여기는걸 국민은 해냈다 라고 과대해석을 하면서 읽었다. 부모잃은 어린 아이가 아비를 죽인 김상헌에 의해 길러지는걸 보면  그런 야박하고 처절한 국가임에도 그나라의 다음세대는 여전히 국가가 무언가 해주기를 기대하고 있다는걸 보여주듯 했다…

성안에서도 고통받는 백성들과 그들을 보면서도 아무것도 해줄수 있는게 없는 관료들의 모습이 나오는데, 백성의 입장이 되어서도 관료의 입장이 되어서도 이거 뭐 숨이 조여오는듯한 상황이다. 인조가 끊임없이 묻는 질문들은 정답이 없음을 스스로 알면서도 답이 있기를 바라는 마음이고, 투항과 항쟁사이에서 나라의 지조를 포기하고 투항을 할것인지(죽은채 살아갈것인지), 끝까지 절개를 지키며 항쟁하다가 죽을것인지(살기위해 죽을것인지) 고민하는 최명길 김상헌을 중심으로 한 조정의 갈등도 깊게 생각할수밖에 없었다. 저상황에서 내가 인조였다면 머리가 깨질거 같았다.

결국 결말은 역사에 나온것과 비슷하게 끝을 맺으며 소설이 막을 내린다. 절대 쓰러지지 않을거 같은 명나라의 반속국처럼 살아가며 유교정서에따라 문과에만 터무니없이 집중되어있던 조선. 위 아래로 그렇게 고통받으면서도 지키고 싶었던게 있던걸까. 나라를 잃을뻔했던 임진왜란을 겪고도 (어차피 바로시작해도 준비는 될수없었다.) 군력강화에 신경쓰지 않았던건 왜였을까. 무력으로 항쟁을 했다면 더 처참하게 졌을수도있지만(6.25때 생각해보면 몇이있던 그때 기술과 전술로는 압도적인 수적우위는 지상이라는 지형으로는 못막았다) 반대로 아무런 저항도 없이 오로지 지조와 절개만으로 꿋꿋하게 대문을 닫고 버티던 변방 소형국가 조선이었기에 지금까지 한반도를 지켜올수있었던걸까. 하는 생각들을 하며 책을 덮게 되었다.

참 한반도의 과거는 기구한 역사다. 정말 어떻게 지금까지 살아서 대한민국으로써 국민도 유지하고 언어도 보존하고있는지가 신기할정도로, 단순히 지형적 이점으로 살아남았다고 치부하기엔 아무것도 없는 비무장중립국가 조선이 커져만 가는 명&청과 왜라는 주변국가들의 힘의 균형을 조상들이 잘 유지하며 지혜롭게 저울질하여 넘겨준 나라라고 생각해야겠다.


그리고 다쓰고나서 보니 남한산성 책 겉표지가 무슨 용 상형문자 이런건줄알았는데, 

갈라진 땅에 짓밟혀있는 민들레 같이 보이는건 왜일까. 

맞는거 같다.






error: Content is protected !!